2021.02.18. | 스마트팜과정 25명 수료 |
---|---|
2021.02.18. | 양봉기초과정 24명 수료 |
2021.02.18. | 토종벌사양과번식과정 17명 수료. |
2021.02.18. | 제25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63명 수료.(농촌문화, 창조농업,농식품e비지니스) |
2020.02.27. | 스마트팜과정 25명 입학 |
2020.02.27. | 양봉기초과정 25명 입학 |
2020.02.27. | 토종벌사양과번식과정 20명 입학 |
2020.02.27. | 제25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 전공 66명 입학(농촌문화,창조농업, 농식품e비지니스) |
2019.11.27 | 스마트팜과정 25명 수료 |
---|---|
2019.11.27 | 잡곡 상품화 |
2019.11.27 | 양봉기초과정 32명 수료 |
2019.11.27 | 산채생산 및 유통과정 25명 수료 |
2019.11.27 | 제24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 전공 68명 수료(농촌문화,창조농업, 농식품 e-비지니스) |
2019.02.28 | 스마트팜과정 26명 입학 |
2019.02.28 | 잡곡 상품화 |
2019.02.28 | 양봉기초과정 32명 입학 |
2019.02.28 |
|
2019.02.28 | 제24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 전공 75명 입학(농촌문화,창조농업, 농식품 e-비지니스) |
2018.11.30 | 스마트팜과정 18명 수료 |
---|---|
2018.11.30 | 토종벌사양과번식과정 21명 수료 |
2018.11.30 | 양봉기초교육과정 29명 수료 |
2018.11.30 | 산채생산과정 29명 수료 |
2018.11.30 | 농산물품질관리과정 23명 수료 |
2018.11.29 | 제23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 전공 68명 수료(농촌문화,창조농업, 농식품 e-비지니스) |
2018.08.10 | 양봉입문단기과정 27명 수료 |
2018.08.06 | 양봉입문단기과정 30명 입학 |
2018.03.01 | 스마트팜과정 20명 입학 |
2018.03.01 | 토종벌사양과번식과정 23명 입학 |
2018.03.01 | 양봉기초교육과정 31명 입학 |
2018.03.01 | 산채생산과정 30명 입학 |
2018.03.01 | 농산물품질관리과정 27명 입학 |
2018.03.01 | 제23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 전공 74명 입학(농촌문화,창조농업, 농식품 e-비지니스) |
2017.12.01 | 제 22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 전공 76명 수료(농촌문화,창조농업, 농식품-e비지니스) |
---|---|
2017.11.24 | 산채생산과정 29명 수료 |
2017.11.24 | 수출농식품가공과정 19명 수료 |
2017.03.09 | 양봉기초교육과정 24명 수료 |
2017.10.31 | 농산물품질관리과정 18명 수료 |
2017.10.31 | 잡곡고부가가치화전문인력양성과정 20명 수료 |
2017.03.09 | 제 22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 전공 80명 입학(농촌문화,창조농업, 농식품-e비지니스) |
2017.03.09 | 산채생산과정 30명 입학 |
2017.03.09 | 양봉기초교육과정 25명 입학 |
2017.03.09 | 수출농식품가공과정 23명 입학 |
2017.03.09 | 농산물품질관리과정 20명 입학 |
2017.03.09 | 잡곡고부가가치화전문인력양성과정 21명 입학 |
2016.12.15 | 제 21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2개 전공 74명 수료(농촌문화,창조농업) |
---|---|
2016.12.07 | 산채생산과정 30명 수료 |
2016.12.07 | 양봉기초교육과정 20명 수료 |
2016.12.07 | 수출농식품가공과정 25명 수료 |
2016.03.11 | 제 21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2개 전공 75명 입학(농촌문화,창조농업) |
2016.03.11 | 산채생산과정 30명 입학 |
2016.03.11 | 양봉기초교육과정 20명 입학 |
2016.03.11 | 수출농식품가공과정 25명 입학 |
2016.02.03 | 제 20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4개 전공 79명 수료(과수, 약용,곤충, 가공) |
2015.12.12 | 산채생산과정 32명 수료 |
---|---|
2015.09.05 | 울릉도독도 특산물 산업화과정 16명 수료 |
2015.07.31 | 울릉도독도 특산물 산업화과정 19명 입학 |
2015.04.18 | 제16회 총동창회 연합 체육대회 실시. |
2015.03.10 | 산채생산과정 33명 입학 |
2015.03.10 | 제 20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4개 전공 80명 입학(과수, 약용,곤충, 가공) |
2015.02.13 | 제 19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4개 전공 79명 수료(과수, 약용,축산, 곤충) |
2014.12.03 | 산채개발교육과정 30명 수료. |
---|---|
2014.07.26 | 울릉도독도 특산물 산업화과정 21명 수료. |
2014.07.03 | 울릉도독도 특산물 산업화과정 21명 입학. |
2014.04.05 | 제15회 총동창회 연합 체육대회 실시. |
2014.03.05 | 제 19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4개 전공 80명 입학(과수, 약용,축산, 곤충) |
2014.03.05 | 산채개발교육과정 30명 입학. |
2014.02.14 | 산채개발교육과정 34명 수료. |
2014.02.14 | 제 18기 지역특화전문경영인양성과정 4개 전공 81명 수료(과수,채소, 한우, 양봉) |
2013.12.23 | 다문화가정 농촌정착과정 30명 수료. |
---|---|
2013.10.01 | 다문화가정 농촌정착과정 30명 입학. |
2013.04.27 | 제14회 총동창회 연합 체육대회 실시. |
2013.03.05 | 산채개발교육과정 34명 입학. |
2013.03.05 | 제 18기 지역특화전문경영인양성과정 4개 전공 81명 입학(과수,축산, 채소, 양봉) |
2013.02.15 | 제 17기 지역특화전문경영인양성과정 4개 전공 72명 수료(과수,축산, 채소, 양봉) |
2013.01.15 | 다문화가정 농촌정착과정 30명 수료. |
2012.10.02 | 다문화가정 농촌정착과정 30명 입학. |
---|---|
2012.08.22 | 농산물품질관리사양성교육과정 20명 수료. |
2012.07.06 | 안동시 귀농귀촌 교육 실시 53명 수료.(7.1~7.6) |
2012.04.27 | 제13회 총동창회 연합 체육대회 실시. |
2012.03.06 | 농산물품질관리사양성교육과정 20명 입학. |
2012.03.06 | 제17기 지역특화전문경영인양성과정 4개 전공 72명 입학.(과수축산, 채소, 양봉) |
2012.03.06 | 제16기 지역특화전문경영인과정 3개 전공 70명 수료.(과수,축산, 채소) |
2011.12.20 | 다문화가정 농촌정착과정 30명 수료. |
---|---|
2011.11.17 | 양봉기술전문화과정 23명 수료. |
2011.10.28 | 경상북도 농업농촌 정보화선도자 능력향상을 위한 교육 - 하반기교육 실시. |
2011.09.20 | 다문화가정 농촌정착과정 30명 입학. |
2011.08.24 | 농산물품질관리사양성교육과정 27명 수료. |
2011.07.01 | 안동시 귀농귀촌 교육 실시 47명 수료.(6.30~7.1) |
2011.05.13 | 제12회 총동창회 연합 체육대회 실시. |
2011.04.29 | 경상북도 농업농촌 정보화선도자 능력향상을 위한 교육 - 상반기교육 실시. |
2011.03.31 | 양봉기술전문화과정 23명 입학. |
2011.03.24 | 제16기 지역특화전문경영인과정 3개전공 70명 입학.(과수, 축산,채소) |
2011.03.06 | 농산물품질관리사양성교육과정 30명 입학. |
2011.02.18 | 제15기 지역특화전문경영인과정 3개전공 70명 수료. |
2010.09.29 | 양봉기술전문화과정 25명 수료. |
---|---|
2010.06.30 | 양봉기술전문화과정 25명 입학. |
2010.06.07 | 안동시 귀농귀촌교육 실시 35명수료.(6.7~6.20) |
2010.05.16 | 안동시 마을리더양성교육 실시 40명 수료.(5.16~6.20) |
2010.04.08 | 경상북도 농업농촌 정보화 선도자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상반기교육 실시. |
2010.04.03 | 농협직원 농산물품질관리사교육과정 36명 수료. |
2010.02.26 | 제 15기 지역특화전문경영인과정 3개 전공 70명 입학.(과수,축산, 채소) |
2010.02.19 | 제14기 지역특화전문경영인과정 2개 전공 48명 수료. |
2010.01.21 | 동계 농업정보마케팅교육 40여명 수료. |
2010.01.04 | 동계 농업정보교육 32명 수료(1.11~1.14) |
2009.09.30 | 양봉기술전문화과정 25명 수료. |
---|---|
2009.06.17 | 양봉기술전문화과정 25명 입학. |
2009.04.30 | 제11회 총동창회 연합 체육대회 실시. |
2009.03.05 | 제14기 지역특화전문경영인과정 2개 전공 50명 입학. |
2009.02.20 | 제13기 농업전문CEO양성과정 3개 전공 70명 수료 |
2009.01.19 | 농업정보마케팅교육 60여명 교육. |
2009.01.16 | 동계 농업경영정보 중기과정 16명 수료. (01.12 ~ 01.16) |
2009.01.08 | 동계 농업정보교육 22명 수료. (01.05 ~ 01.08) |
2008.08.20 | 지역특성화교육 2개 전공 45명 수료. |
---|---|
2008.04.26 | 제10회 총동창회 연합 체육대회 실시. |
2008.04.11 | 지역특성화교육 2개 전공 45명 입학. (양봉, 마늘) |
2008.03.06 | 제13기 농업전문CEO양성과정 3개 전공 70명 입학. (과수,채소ㆍ특작, 축산) |
2008.03.01 | 제7대 농업개발원장 박윤문 교수 취임. |
2008.02.22 | 제12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 전공 70명 수료. |
2007.11.08 | 제12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부부합동 강의 개최. |
---|---|
2007.10.11 | 경주 세계문화 엑스포 견학 실시. |
2007.10.06 | 제9회 최고농업경영자과정 연합 체육대회 실시. |
2007.08.01 | 청송사과농가를 위한 중기교육 17명 수료. (08.01 ~ 08.30, 주1회 ) |
2007.07.09 | 하계 농업정보교육 과정 16명 수료. (07.09 ~ 07.13) |
2007.02.22 | 제11기 최고 농업경영자과정 3개 전공 72명 수료. |
2007.01.25 | 동계 전공별 추수교육 실시. |
2007.01.15 | 동계 농업경영정보 중기과정 34명 수료. (01.15 ~ 01.19) |
2007.01.08 | 동계 농업정보교육과정 43명 수료. (01.08 ~ 01.11) |
2006.07.11 | 하계 농업경영정보 중기과정 15명 수료. (07.11 ~ 07.15) |
---|---|
2006.05.11 | 최고농업경영자과정 1학기 체육대회 실시. |
2006.04.20 | 부부 합동강의 교양강좌 100여명 교육. |
2006.03.03 | 제 11기 최고 농업 경영자 과정 3개 전공 73명 입학. (과수,채소ㆍ특작, 축산) |
2006.01.19 | 동계 전공별 추수교육 실시. |
2006.01.18 | 여성농업인 교양강좌 50여명 교육. (안동대 농업개발원) |
2006.01.13 | 동계 농업정보중기과정 15명 수료. (01.09 ~ 01.13) |
2006.01.12 | 동계 농업정보교육과정 30명 수료. (01.09 ~ 01.12) |
2005.03.04 | 제10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 전공 73명 입학. (과수,채소ㆍ특작, 축산) |
---|---|
2005.02.22 | 제9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 전공 69명 수료. |
2005.01.28 | 전공별 추수교육 실시. |
2005.01.14 | 2004학년도 농업정보교육과정 41명 수료. (01.10 ~ 01.14) |
2004.12.22 | 영양군 여성 농업인 강좌 50여명 교육. |
---|---|
2004.11.26 | 농업인 심포지엄 개최. (쌀 협상과 경북 쌀산업 대응방안) |
2004.08.27 | 문경시 여성농업인 교양강좌 100여명 교육. |
2004.03.04 | 제9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전공 73명 입학. (과수,채소ㆍ특작, 축산) |
2004.03.02 | 제5대 농업개발원장 이영근 교수 취임. |
2004.02.20 | 제8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 전공 73명 수료. |
2004.02.06 | 전공별 추수교육 실시. |
2004.01.09 | 동계 농업정보교육과정 12명 수료. (01.05 ~ 01.09) |
2003.11.07 | 농업인 특별 심포지엄 개최. |
---|---|
2003.07월, 12월 | 여성농업인 교양강좌 3회 실시. (예천, 영주, 안동) |
2003.03.07 | 제8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 전공 73명 입학. (과수,채소ㆍ특작, 축산) |
2003.02.20 | 제7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4개 전공 67명 수료. |
2003.01.10 | 동계 농업정보교육과정 21명 수료. (01.06 ~ 01.10) |
2002.12.20 | 봉화군 농촌여성 교양강좌 100여명 교육. |
---|---|
2002.08.21 | 의성군 농촌여성 교양강좌 150여명 교육. |
2002.07.12 | 하계 농업정보교육과정 17명 수료. (07.08 ~ 07.12) |
2002.06.20 | 제7기 과정생 51명 국가행정연수원 농업정책과정 수료. |
2002.03.08 | 제7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4개 전공 70명 입학.(과수,채소ㆍ특작, 축산, 여성) |
2002.03.02 | 제4대 농업개발원장 정구민 교수 취임. |
2002.02.21 | 제6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4개 전공 68명 수료. |
2002.01.12 | 동계 농업정보교육과정 40명 수료. |
2002.01.07 | 동계 농업정보교육과정 68명 등록. |
2001.12.20 | 청송군 농촌여성 교양강좌 200여명 교육. |
---|---|
2001.07.07 | 하계 농업정보교육과정 38명 수료. |
2001.07.05 | 봉화군 농촌여성 교양강좌 200여명 교육. |
2001.07.02 | 하계 농업정보교육과정 53명 등록. |
2001.04.27 | 제6기 과정생 60명 국가행정연수원 농업정책과정 수료. |
2001.03.08 | 제6기 최고경영자과정 4개 전공 70명 입학 (과수, 채소ㆍ특작,축산, 여성) |
2001.02.16 | 제5기 최고경영자과정 4개 전공 65명 수료. |
2001.02.06 | 경상북도와 제6기 최고경영자과정 위탁교육 협약체결. |
2001.01.13 | 제2차 농업정보 및 경영교육과정 21명 수료. |
2001.01.10 | 경북 봉화군 농업인 기술교육 강좌 150명 교육. |
2001.01.08 | 제2차 농업정보 및 경영교육과정 43명 등록. |
2000.12.16 | 경북 예천군 농촌여성 교양강좌 198명 교육. |
---|---|
2000.12.12 | 경북 예천군 농업인 기술교육 강좌 150여명 교육. |
2000.08.17 | 제4기 최고경영자과정 3명 추가 수료. |
2000.07.25 | 경북 의성군 농촌여성 교양강좌 100여명 교육. |
2000.07.15 | 제1차 농업정보 및 경영교육과정 28명 수료. |
2000.07.10 | 제1차 농업정보 및 경영교육과정 47명 등록. |
2000.07.07 | 제5기 최고경영자과정생 52명 국가행정연수원 농업정책과정수료. |
2000.03.03 | 제5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4개 전공 69명 입학. (과수, 채소,수도, 특작) |
2000.02.22 | 경상북도와 제5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위탁교육 협약체결. |
2000.02.18 | 제4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4개 전공 62명 수료. |
2000.01.13 | 농업경영교육과정 40명 등록 및 수료. |
2000.01.12 | 안동시 버섯기술강좌 100명 등록 및 수료. |
2000.01.08 | 제3기 농업인 컴퓨터 교육과정 63명 수료. |
2000.01.03 | 제3기 농업인 컴퓨터 교육과정 63명 입학. |
1999.12.15 | 안동시 농촌여성교양강좌 80명 등록 및 수료. |
---|---|
1999.12.09 | 제4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생 51명 국가행정연수원 농업정책과정수료. |
1999.11.26 | 의성군 농촌여성교양강좌 150명 등록 및 수료. |
1999.07.01 | 제2기 농업인 컴퓨터 교육과정 33명 수료. |
1999.06.28 | 제2기 농업인 컴퓨터 교육과정 33명 입학. |
1999.03.05 | 제4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4개전공 68명 입학. |
1999.02.20 | 경상북도와 제4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위탁교육협약 체결. |
1999.02.19 | 제3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4개전공 58명 수료.(과수,채소ㆍ특작, 축산) |
1999.01.16 | 제1기 농업인 컴퓨터 교육과정 35명 수료. |
1999.01.11 | 제1기 농업인 컴퓨터 교육과정 50명 입학. |
1998.03.06 | 제3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4개전공 60명 입학.(과수,채소ㆍ특작, 축산) |
---|---|
1998.03.02 | 제2대 농업개발원장 오세명 교수 취임. |
1998.02.21 | 제2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전공 49명 수료.(과수,채소ㆍ특작, 축산) |
1998.02.10 | 경상북도와 제3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위탁교육협약 체결. (기존3개 전공에 여성반 추가 신설) |
1997.12.20 | '98 농업인 경영교육 단기과정 71명 수료. |
---|---|
1997.12.16 | '98 농업인 경영교육 단기과정 71명 입학. |
1997.08.21 | 제1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1명 추가 수료. |
1997.03.07 | 제2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전공 50명 입학.(과수,채소ㆍ특작, 축산) |
1997.02.21 | 본 과정 제1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4명 수료.(과수,채소ㆍ특작, 축산) |
1997.02.16 | 경상북도와 제2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위탁교육협약 체결. |
1996.03.08 | 제1기 최고농업경영자과정 3개전공 40명 입학.(과수,채소ㆍ특작, 축산) |
---|---|
1996.03.06 | 사회교육법 제26조 및 동법시행규정 제15조의 규정에 의거농업개발원을 본 대학의 사회교육시설로 교육부에 설치 신고 및수리. |
1996.03.02 | 초대 농업개발원장 황재문 교수 취임. |
1996.02.13 | 본 대학 교무회의에서 농업개발원 설치 결정. |
1996.01.31 | 경상북도와 본 대학교 간에 농업경영인 교육을 위한 '96최고농업경영자과정위탁교육협약 체결. (과수, 채소ㆍ특작,축산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