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료실

배, 사과 화상병 예방이 중요하다

농업개발원 0 424 2018.07.13 15:18

화상병 발생시 조치방법

  • 화상병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시군농업기술센터에 신고
  • 화상병 확진시 발생주 중심 반경 100m이내 사과·배 땅속에 매몰

1. 화상병이란?

-화상병(영명 : Fire blight, 학명 : Erwinia amylovora)은 세균병으로 사과·배·비파·모과 등 장미과(科) 39속(屬) 180여종(種) 식물의 잎·꽃·가지·줄기·과일 등이 마치 불에 타서 화상을 입은 것과 같이 되어 조직이 검게 마르는 피해를 주며 고온에서 전파속도가 빠른 식물의 병임

2. 화상병 전파

-감염된 식물에서 흘러나오는 세균점액이 비·바람 등에 섞여 전파되거나 꿀벌 등 곤충류에 의해 전파되기도 하고, 특히 전정 가위 등에 세균 점액이 묻어서 전파

-2차 전염은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피목(皮木), 기공(氣孔)을 통해 일어날 수 있으며 주로 진딧물, 매미충류, 혹파리류, 노린재류 등의 흡즙해충, 바람에 의한 마찰과 모래, 우박 등에 의한 상처를 통해 발생

3. 화상병 진단과 병징

-병든 꽃은 수침상이 되고 쭈그러든 후 흑갈색으로 변하고 꽃이 달린 가지나 인접한 가지로 진전되어 잎맥을 따라 흑갈색의 병반이 생기는데 병이 진전됨에 따라 병든 잎은 말리고 쭈그러들어 보통은 가지에 매달려 있음

-병든 가지의 수피는 흑갈색으로 변하면서 물러졌다가 후에 위축되고 단단해지고 잔가지의 끝부분은 구부러짐

-열매가 달린 잔가지부터 병징이 아래쪽의 큰 가지로 진전되어 궤양병반이 형성되고 궤양 병징을 보이는 가지의 수피는 수침상의 병반을 나타내고 짙은 색으로 함몰된 채 마르면서 궤양이 커져 가지를 둘러싸면 그 윗부분은 고사함   

4. 화상병 피해

-화상병에 감염되면 우선적으로 과실 수확량에 큰 영향을 주며, 심하면 전혀 수확을 하지 못함

-병이 진전됨에 따라 식물 전체가 말라 죽는 등 심각한 위험을 초래

5. 화상병 병원균

-세균의 일종으로 막대모양이며 주생모를 가졌고 생장요소로 니코틴산이 필요함

-크기는 0.9∼1.8×0.5∼0.9㎛, 발육온도는 최저 3℃, 최적 30℃, 최대 36℃, 사멸온도는 45∼46℃(10분간)

6. 화상병 발생생태

  • 월동 : 세균은 오래된 궤양의 주변에서 월동
  • 전반 : 궤양에서 분출되는 세균액의 세균이 곤충과 비에 의해 다른 나무나 가지로 이동, 벌이 세균을 꽃에 옮김
  • 침입 : 세균은 꽃의 밀선을 통해 침입하고, 기공과 상처를 통해 잎에 침입
  • 증식 : 세균은 세포 간극에서 증식하고 퍼짐
  • 병징 발현 : 감염된 꽃은 쭈그러들고 짙은 색으로 변해 죽고 감염이 다른 꽃, 가지, 잎으로 번지게 되고 심해지면 새로운 가지와 줄기에 새로운 궤양 형성
7. 화상병 예방
  • 발생지역은 월동기에 동제화합물을 1회, 꽃이 피는 시기에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등 항생제를 2회 살포하여 다른 꽃에 2차로 감염되는 것을 예방
  • 미발생지역은 월동기에 1회 동제화합물 약제를 살포하여 예방
  • 주기적으로 가지나 신초, 잎, 꽃, 열매 등이 갑자기 시들어 구부러지거나 흑색으로 변하는지 관찰하여 이상 증상이 발견되면 신고하여 병이 확산되지 않도록 해야 함

 

화상병 예방을 위한 농가 준수사항

  • 과수원에서 사용하는 농기구 및 농작업 도구 철저히 소독
  • 과수원 주변 기주 식물(매실, 자두, 모과 등) 신규식재 금지
  • 병 발생 과수원에서 생산된 접수, 삽수, 묘목 등 이동 금지
  • 사과·배 개화기(4∼5월) 수분용 방화곤충 이동제한(발생지 중심 반경 2km 이내)

 

화상병 예방을 위한 농가 준수사항

  • 과수원에서 사용하는 농기구 및 농작업 도구 철저히 소독
  • 과수원 주변 기주 식물(매실, 자두, 모과 등) 신규식재 금지
  • 병 발생 과수원에서 생산된 접수, 삽수, 묘목 등 이동 금지
  • 사과·배 개화기(4∼5월) 수분용 방화곤충 이동제한(발생지 중심 반경 2km 이내)

 

 

 

Comments